1. 초보자를 위한 디지털카메라 용어 알아보기 (센서, 프레임, ISO, 셔터 스피드, AF)

디지털카메라를 구입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디지털카메라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을 볼 수 있는데요. 디지털카메라 입문에 있어서는 알아야 하는 용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카메라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카메라 센서

디지털카메라에서 센서는 이미지를 읽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카메라의 센서가 클수록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빛을 많이 받아드릴수 있고 사진을 찍었을 때 이미지의 디테일도 더욱 좋아집니다.

이는 이미지의 품질도 업그레이드되어 디지털카메라의 가격이 정해지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를 구입하려고 마음먹으셨다면 센서 크기가 큰지 작은지 비교해 보시고 카메라 가격이 적절한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풀프레임(Full frame) 센서 vs 크롭 센서(APS-C)






앞서 디지털카메라에서 센서의 크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드렸는데요. 디지털 카메라에서 센서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풀프레임 센서는 35mm 필름과 같은 크기의 1:1 비율을 가진 센서이고 크롭센서는 풀 프레임보다 작은 센서로 1:1.6 혹은 1:1.5의 비율의 센서를 가진 카메라입니다.

풀프레임(Full frame) 센서 vs 크롭 센서(APS-C) 카메라특징

풀 프레임 센서 카메라 장점
▶ 더 선명하고 노이즈가 적은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얻을수 있다

▶ 어두운곳에서도 디테일한 촬영 및 연출이 가능하다.

▶ 넓은 프레임이 필요한 광각 촬영이 수월하게 가능하다

▶ 크롭센서보다 얕은 피사계 심도를 얻을 수 있다

풀 프레임 센서 카메라 단점

▶ 풀프레임 카메라와 렌즈 모두 크롭센서의 제품보다 가격이 비싸다

▶ 센서크기가 큰만큼 카메라의 부피가 커 카메라 무게가 크롭센서 카메라보다 무겁다

크롭센서(APS-C) 카메라 장점

▶ 부피가 작고 그만큼 무게가 덜 나가기 때문에 휴대하기 편리하다

▶ 초기비용이 풀프레임 카메라보다 적게들어 디지털카메라 입문용으로 좋다

▶ 멀리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순간에 풀 프레임 카메라보다 더 좋다.

크롭센서(APS-C) 카메라 단점

▶ 상대적으로 낮은 이미지 품질을 갖고 있다.

▶ 좁은 초첨거리로 풀프레임 대비 넓은 풍경을 다 담아서 촬영할 때 어려움이 있다.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는 이미지 센서가 빛을 받아드리는 민감도를 수치로 표기한 것입니다. ISO 수치가 높을수록 적은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만약 ISO를 100,000으로 설정하게 되면 빛이 부족한 암실이나 어두운 곳에서 밝은 촬영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ISO의 값이 높아질수록 사진의 품질은 저하되는데요. 밝은 빛이 있는 공간에서는 ISO 값을 최대한 낮게 설정하고 촬영하는 것이 좋으며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셔터 스피드

카메라에서 셔터스피드란 카메라 셔터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1/25초는 느린속도의 셔터스피드고 1/2000초는 빠른 속도의 셔터스피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모든 카메라제품들은 가장 빠르게 닫히고 열리는 셔터 속도를 표기하는데요. 셔터가 열리는 속도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닿게 되는 빛의 양을 시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빠른 셔터속도를 갖고 있는 카메라면 빛이 머무는 속도가 적어지고 셔터스피드가 낮은 카메라는 빛이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이렇게 셔터 스피드를 조절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잔상 없이 정지된 상태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조리개

조리개-예시

조리개는 카메라 렌즈에서 확인할수 있는 특징으로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조리개는 빛이 카메라로 들어오는 구멍을 조였다 개방하기를 하며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결정짓습니다. 조리개를 크게 개방하는 경우 빛의 양이 많이 지고 조리개값이 감소합니다. 반대로 조리개를 조이면 빛의 양은 작아지고 조리개의 값은 커지게 됩니다.

디지털카메라 AF(Auto Focus) 기능






디지털카메라에서 AF기능은 Auto Focus의 약자로 피사체에게 자동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AF 기능에도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요.

▶ 위상차 검출 AF

위상차 검출방식 AF는 콘트라스트 검출방식보다 빠르게 작동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컨트라스트 AF

컨트라스트 방식의 AF는 위상차 방식보다 피사체에게 초점을 맞춰주는 정확도가 뛰어나지만 위상파 검출방식의 AF보다 속도가 느립니다.

▶ 하이브리드 AF

하이브리드 AF는 위상차 검출 AF와 콘트라스트 AF의 장점을 합친 방식의 AF로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초점 컨트롤을 맞추어 잡아주는 형식의 포커싱입니다.

▶ 듀얼픽셀 AF

하이브리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AF로 이미지 촬영과 동시에 위상차 검출을 지원하여 더 넓은 영역에서 빠르게 초점을 맞춰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디지털카메라를 구입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알아야하는데요. 디지털 카메라 제품을 구매하실 때 스펙확인을 위해 위 용어들을 확인하면서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