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는 법이 개정되면서 소액 주식투자자도 주식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번글에서는 2025년부터 변경되는 주식세금과 절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개정 금융소득세
- 주식 처분단계에서 5,000만원이 넘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함
- 3억 원 이하 금융소득세: 20%
- 3억원 초과 금융소득세: 25%
저 같은 경우 주식으로 돈을 전혀 벌지 못하고 있지만 금융투자소득세가 생기면서 주식처분에 대한 금융투자 세금을 내야 합니다.
2024년까지 국내주식을 팔아야 할까?
이렇게 많은 대주주분들이 2025년 이후로 부과되는 주식에 대한 금융소득세로 인해 2024년 말까지 주식을 팔아야 하는지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이는 2025년 새로운 법이 발안되기 전에 세금을 내지 않으려는 심리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방지하기 위해 “의제 취득가액제도”가 있는데요. 의제 취득가액제도는 2025년 1월 1일 이후 양도되는 주식의 차익계산 시 2024년 말에 주식을 취득한 것으로 간주하고 취득가액을 산정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주식취득가와 2024년 연말 마지막 주식가격 중 가장 큰 금액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주식을 1,000만 원 치 구매하고 2024년 말 주식가격이 1,500만 원이라면 취득가액을 둘 중 큰 금액인 1,500만 원으로 적용하여 2025년 1월1일 이후 매매할때 차익에 대한 주식수익을 실제 1,000만원이 아닌 올해말 가장큰 금액 1,500만원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2025년 이후 주식을 1,800만 원에 판매했을 때 실제 이득은 800만 원이지만 주식취득가격을 1,500만 원으로 쳐주어 300만 원에 대한 세금만 내셔도 됩니다.
해외주식의 경우
해외주식의 경우 주식을 구매 팔 때 세금이 부과되는데요. 해외주식을 팔아서 남는 차익 250만 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20% 단일세율로 분리과세하여 세금을 내야 합니다.
해외주식의 경우 세금을 적게 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요.
- 공제범위에 맞춰서 조금씩 수익실현하기
- 의도적으로 손실난 종목 매도하기
- 가족에게 해외주식 증여하기
해외주식 세금 아끼는 자세한 방법은 아래글을 참고해 주세요.
공제범위에 맞춰서 조금씩 수익실현하기
해외주식은 250만 원 이익부터, 국내주식은 5,000만 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할 때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를 계산해서 분할매도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의도적으로 손실난 종목 매도하기
해외주식 수익의 경우 발생한 이익과 손해를 통틀어 계산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손실난 종목을 매도하면 이익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어 세금을 적게 내실수 있습니다.
가족에게 해외주식 증여하기
부부간 해외주식 증여를 할 때에는 10년간 6억 원, 성인자녀는 5,000만 원, 미성년자 자녀의 경우 2,000만 원까지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 제도를 사용하면 좋은데요. 실제로 증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나중에 법적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