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을 하다 보면 어두워질 때 헤드라이트를 켜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자동차의 조명을 자동으로 키고 끄게 해 주는 장치인 오토라이트가 장착되어 있는데요.
차의 기능에 잘 알지 못하는 운전자라면 오트라이트 기능을 잘못 이해하고 사고가 일어나거나 운전자들끼리의 싸움이 일어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오토라이트 기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토라이트 기능
오토라이트 기능은 자동조명 장치입니다. 오토라이트 기능을 작동시키면 헤드라이트, 차폭에 있는 등의 조명 기능을 자동으로 On/ Off 하는 기능입니다.
이런 자동차의 오토라이트 기능은 수동으로 차등을 키고 끄는 것보다 유용할 수 있는데요. 날이 어두워지는 줄 모르고 차등을 켜지 않았다가 스텔스 차량이 될 수 있고 주차 시 전조등 끄는 것을 잊어버려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을 겪는 분도 더러 계실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실수를 방지하고 운전자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오토라이트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자동차 오토라이트 작동방법
자동차 오토라이트의 작동방법은 간단합니다. 핸들의 좌측에 길게 튀어나온 점등 레버가 있는데요. 이를 돌려 [AUTO]를 맞춰주시면 자동차 오토라이트 기능이 활성화되어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AUTO로 설정해 놓으셨다면 낮에 밝을 때에는 등이 꺼지고 터널이나 날씨로 인해 어두워지게 된다면 자동으로 차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렇게 오토라이트 기능이 제어를 하는 것은 하향 전조등과 미등인데요. 날이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는다면 센서사 이를 감지하여 미등을 켜게 되며 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하향 전조등이 켜집니다.
오토라이트 센서방해
오토라이트는 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작동하는데요. 오토라이트 센서위치를 모르고 있다면 센서를 가려 오토라이트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오토라이트 센서를 가리게 되는 경우 대시보드 커버로 인해 센서가 가려져 낮에 차등이 켜지기도 하고 밤에는 스텔스차량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차량 대시보드커버에 위치한 오토라이트 센서를 가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토라이트 키는 것이 좋을까?
오토라이트 기능이 있는 차량이라면 무조건 AUTO로 설정하여 오토라이트를 켜놓는 것이 좋습니다. 차종류에 따라 또 센서 민감도에 따라 낮과 밤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을 판단하여 차등을 켜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유리 앞 틴팅이 진하거나 대시보드 커버에 여러 설치물들을 설치하는 경우 오토라이트 센서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차량관리에 주의하시면서 오토라이트 기능은 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