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행복하지 않게 살고 싶은 분들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집을 구할 때 월세로 살아야 하는지 혹은 전세로 살아야 하는지 어떤 것이 더 나은지 고민이 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번글에서 월세 vs 전세중 뭐가 더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세의 장단점
월세의 경우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액수이니 전세보증금을 못받을수 이다는 보증금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또한 보일러, 배관등 각종 주거시설 유지보수는 집주인의 의무로 해당하여 이런 곳에 추가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집을 자주 들어오지 않거나 이사를 가야 하는 상황에서는 중개수수료도 저렴하여 월세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월세의 경우 고정적으로 나가는 고정지출이 생긴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 월세이외에 관리비까지 지출해야 돼서 직장인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세의 장단점
전세의경우 월마다 지출해야 하는 돈이 없기 때문에 고정 지출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전세를 살면 관리비나 공과금정도만 내면 되는데요. 대신 보증금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는 이미 집이 담보대출이 있거나 집주인의 사정상 보증금을 돌려줄 돈이 없는 경우 내 보증금을 제 날짜에 돌려받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약 대출을 받아서 보증금을 낸 경우 대출이자는 대출이자대로 내고 손실이 클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세가 월세보다 나은이유?
전세 보증금을 위한대출은 강제저축하는 효과를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한 번에 큰돈을 전세대출금으로 빌리고 대출이자를 갚아가면서 나중에 보증금을 돌려받게 되면 묵돈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해외여행, 인테리어 가구, 가족지원등 유혹이 많은데요. 일단 보증금을 대추 하면 무조건 갚는 방법밖에 없으니 강제저축효과가 있어 묵돈을 마련하기를 원한 다면 전세를 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계시다면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나 ‘청년전용 보증금, 월세 대출’ 과같은 상품을 사용하면 저금리로 대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 집을 구할때에도 주거요건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의 모든 조건이 좋으면 좋겠지만 내가 포기할 수 없는 집의 조건(위치, 채광, 크기)을 고려하여 전세에 사는 것이 나중에 묵돈을 만들기에도 편하고 좋습니다.
또한 요즘 정부에서도 보증금과 관련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다양한 상품들과 대출지원을 해주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