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노화의 관계 알아보기

인간의 노화는 20대부터 시작됩니다. 한 연구결과발표에 따르면 20대 후반부터 최대심박수가 매년 분당 1회씩 줄어들고 심장에서 온몸의 혈관으로 보내는 혈류도 10년마다 5% ~ 10% 정도 감소한다고 합니다.

노화를 낮추는방법

노화는 본격적으로 40대부터 진행됩니다. 이때부터는 신진대사량이 줄어들어 먹은 게 많이 없어도 몸무게는 늘고 근육은 줄어드는데요. 특별한 질병이 없어도 근육량은 한창 줄어들며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골다공증에 걸릴 확률도 높아집니다.

이렇게 근육과 뼈가 모두 약하니 작은 충격에도 다치기 쉬워지고 병원신세를 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체지방률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올라 당뇨나 대사질환에 걸리기 쉬워집니다.






이렇게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노화과정을 조금이라도 늦추려면 규칙적인 운동이 가장 중요한데요. 운동은 건강하게 사는 확률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오래 살수 있는 능력을 높여줍니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잘 숙면에 취하고 적절한 근육량을 유지하며 암 발병률이 낮은데요. 규칙적인 운동이 세포의 구성성분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운동과 노화의 상관관계

미국의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공공보건학자 마이클 헌터 교수의 연구결과가 있는데요. 18세부터 30세, 65세부터 80까지의 연령으로 구성된 남녀가 각각 36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고강도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실시하도록 했는데요.

일정기간 동안 운동을 한 후에 참가자들의 허벅지 근육에서 세포조직을 체취해 비교한 결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진행한 그룹의 세포단위에서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 더 많이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달리기나 자전거 타기와 같이 숨이 찰정도의 유산소 운동은 세포가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단백질과 미토콘드리아를 더 많이 생산하여 면역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줄어들게 되는데 근력운동 또한 노화에 효과가 있습니다. 적절한 근육운동은 노화로 인해 줄어드는 근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