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순간적으로 어지러운 느낌이 들고 머리가 핑 도는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요. 이런 증상을 기립성 저혈압 이라고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원인
기립성 저혈압은 자율신경계가 제대로 역할하지 못하여 혈압이 갑자기 저하되어 생기는 증상인데요. 보통 우리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500cc ~ 1,000cc 정도의 혈류가 복부나 하지정맥 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순간 일시적으로 심장에 들어오는 혈류량이 줄어들고 심박출량과 혈압이 감소하게 되는데요. 정상인의 경우 자율신경계나 심혈관계, 내분비계에서 보상 메커니즘이 작용하여 혈류량을 증가시켜 줍니다.
하지만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있다면 이 혈류량을 조절하지 못해 일어났을 때 어지럼증을 발생시키는데요. 병원에 방문하거나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지만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면 실신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나이가 들면서 빈도수가 더 많아집니다. 50세 미만에서 기립성 저혈압 증상은 5%밖에 안되지만 70대가 넘어가면 30%까지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기립성 저혈압이 늘어나는 이유는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에 원인이 있는데요. 우선 어지럼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자가진단방법
기립성 저혈압은 자가진단이 증상으로밖에 진단하기 어려운데요. 보통 기립성 저혈압증상은 병원에서 누워있다가 일어나서 60도 이사의 경사대검사에서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으로 떨어지는 경우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을 받게 됩니다.
기립성 저혈압 치료방법
기립성 저혈압은 따로 약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운동, 압박 스타킹을 활용한 비약물성 치료를 우선으로 하고 만약 운동이나 압박스타킹을 사용해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런 저혈압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유산소와 같이 땀을 흘리고 숨찬 운동 및 근력 강화운동을 균형 잡히게 진행해주셔야 하는데요. 이런 운동들을 통해 심폐지구력 및 근육량을 늘려주는 것이 약물치료를 피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니 주기적으로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기립성 저혈압증상의 원인, 자가진단방법, 치료방법 및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립성 저혈압은 심각한 질환이 아니지만 기립성 저혈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위험할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