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과일에 속하는 수박도 전염병에 걸릴 수 있는데요. 이번글에서는 수박 모자이크 전염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박 모자이크병
(모자이크병에 걸린 수박특징)
수박 모자이크병(wmv)는 수박에 붙어있는 진딧물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 수박 전염병인데요.
모자이크병에 감염된 수박을 먹는 경우 설사를 동반한 배탈증상 그리고 심한 경우 구토를 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모자이크병에 걸린 수박을 보시면 수박을 잘랐을떄 수박 안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군데군데 파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상하게 생긴 부분만 잘라내고 수박을 섭취하시면 심각한 식중독 증상에 걸릴수 있으니 모자이크 병에 걸린 수박을 발견하셨다면 바로 수박을 바로 버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박 모자이크병 예방방법
수박 모자이크병은 수박 재배농가를 중심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졌던 전염병인데요.
수박모자이크병의 주된 원인으로는 진딧물로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등 총 19종의 진딧물에 의해 옮겨져 한번 농가에서 발생하게 된다면 경작지 전체를 오염시킬 정도로 전염성이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자이크병에 걸린 수박 피하는 방법
수박모자이크병의 경우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인데요. 수박이 모자이크병에 감염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식물용 바이러스 진단키트를 사용하거나 수박을 반으로 갈랐을때 냄새가 이상하다면 수박 모자이크병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감염된 수박의 경우 꼭지 주변부분이 갈색으로 심하게 상해있는 것을 발견하실 수 있는데요. 수박 꼭지가 말라서 생긴 모양이 아니라 벌레가 파먹고 들어간듯한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박 모자이크병 소용돌이 무늬
(정상수박 vs 바이러스에 감염된 수박)
만약 수박을 구매하고나서 수박안쪽 과육이 소용돌이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꼭 이런 무늬가 나와있다고 수박 모자이크병을 의심할 수 없는데요.
농촌진흥청에서는 소용돌이 무양은 원래 정상적인 수박에서도 발견할수 있는 무늬로 수박씨가 있는 자리에서 과육이 발달하게 되면서 이러한 무늬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수박모자이크병에 걸린 수박의 주요 특징은 색깔과 냄새로 구분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수박은 씨아주변에 수박과육색보다 어두운 색을 띠고 곳곳에 황색 섬유줄이 생기면서 냄새가 납니다.
이렇게 수박모자이크병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부터 수박구매후 과육모양, 색깔, 냄새에 이상이 있다면 해당과육 부분을 잘라내고 드시는 것보다 통째로 버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