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에 성공했다면 돈이 나가는 곳이 많은데요. 그중에서도 그동안 키워주신 부모님을 위해 매달 용돈을 드려하는 것이 자식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이 라고 생각이 들게 됩니다. 저 역시도 부모님 용돈을 챙겨드리고 있는데요. 이번글에서는 부모님 용돈 및 노후대비로 얼마가 적절한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부모님 용돈 금액
부모님에게 드려야 하는 적정 용돈은 얼마정도가 될까요? 부모님의 경제적 상황, 형제나 자매의 수, 본인의 경제적 상황 등 다양한 고려사항들이 있는데요. 만약 사회초년생이시라면 본인 소득의 10%를 추천드립니다.
본인을 그동안 키워주고 돌봐주시면서 고생한 부모님을 위해 소득의 10% 정도는 큰 금액이 아니라고 보며 부모님들도 그 돈을 사용하여 나중에 노후자금을 위해 저금, 투자등을 하실 수 있게 해 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연봉이 3,000만원인 경우 3,000만 원의 10%인 300만 원을 1년간 부모님께 드려야 하는 돈으로 설정해 놓아 설날이나 명절과 같은 날에 부모님께 돈을 드리고 매월 얼마 정도를 부모님께 드려야 하는지 계산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부모님 용돈은 언제까지나 자신의 경제적 상황, 부모님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드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형제나 자매가 용돈을 많이드린다고 똑같이 줄 필요는 없다.
만약 형제나 자매중 1명이 용돈을 더 드리는 경우 무리하여 부모님 용돈을 많이 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부모님 용돈문제로 가족 간의 다툼이 일어나는 경우다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 가족들과 상의해서 얼마가 적정금액인지 상의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혹은 형재, 자매끼리 통장을 하나 만들어 부모님께 지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님께 돈을 많이 드린다고 효도라는 생각보다 효도는 장기적으로 보아야 하기때문에 본인의 경제적 여유면에서 균형이 있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부모님 노후대비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부모님 노후대비는 필수사항이 되었는데요. 부모의 입장에서는 냉정하게 자녀들의 결혼이나 유학을 어느 선에서 막아야 본인들의 노후자금이 생긴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자녀들도 마찬가지로 결혼이나 살집을 구하는 곳에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모님이 은퇴하시고 나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같이 상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경우 부모님 노후대비를 위해 연금통장을 만들거나 금리가 높을 때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적금형태의 안정적인 투자방법을 사용하여 부모님이 노후에도 대비하실 수 있게 해 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