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통일 어떤 영향을 미칠까? (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 변화)

대한민국에서는 만 나이 통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는데요. 연 나이나 만 나이, 세는 나이 등으로 인하여 계산법의 사용으로 인해 사회적, 행정적 혼선이 나타나 만 나이로 통일하자는 의견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나이

  • 연 나이: 태어난 출생일에 0살로 시작하여 매년 1월1일이 되면 1살을 더해갑니다.
  • 만 나이: 태어난 출생일에 0살로 시작하여 매년 출생일이 지나면 1살을 더해갑니다.
  • 세는 나이: 태어난 출생일에 1살로 시작하여 매년 1월1일이 되면 1살을 더해갑니다.

만 나이 시행일

현재 2023년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각종 법, 계약, 공문서에서 표기되는 나이를 원칙적으로 ‘만 나이’로 통일하겠다는 지침을 세웠는데요. 행정에 관한 나이는 다른 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출생일을 기입하여 만 나이로 계산하고연수로 표시하게 됩니다.

바뀌는 법에 따라 만 나이 통일 어떤 영향을 끼칠까?

2023년 6월 28일부터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나이가 ‘만 나이’로 통일되는데요. 이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 연수로 표시됩니다. 다만 1세에는 이르지 않는경우 월수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만 나이 계산기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EB%A7%8C%EB%82%98%EC%9D%B4+%EA%B3%84%EC%82%B0%EA%B8%B0

만 나이 계산방법

만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현재날짜 – 출생 연도 를 계산하면 개인의 나이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현재 날짜가 생일을 지나지 않았다면 1년을 빼주고 만약 현재 날짜가 생일을 지났다면 현재날짜 – 출생 연도 나이가 됩니다. 예를 들어 2,000년 1월 10일 출생일이라면 이 출생일 2023년 1월 15일 에는 만 나이 23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22살이 됩니다.

만 나이 통일로 어떤변화가 있을까?

현재 만나이로 통일되면서 아이 나이에 영향이 많이 갈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새해 첫아기의 나이는 한국식 나이로 1살이었지만 2023년 6월 28일부터는 0살로 되어 생일이 지나면 그때부터 1 사이 됩니다.

만 0살 ~ 만 1살의 아동이 있는 가정은 부모급여를 지급받을수 있는데요. 0살 아동가정에는 월 70만 원, 1살 아동가정에는 월 35만 원이 지급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도입되는 만 나이 계산법과 만나이가 우리나라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